경칩 (驚蟄)에 대하여
경칩 (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節氣)다. 계칩(啓蟄)이라고도 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동지 이후 74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3월 5일 무렵이 된다.
우수(雨水) 다음의 절기로, 양력으로는 3월 6일경부터 춘분(春分:3월 21일경) 전까지이다. 음력으로는 이월절(二月節)이다.
날씨가 따뜻해서 초목의 싹이 돋고, 동면하던 동물이 땅속에서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여러 세시기(歲時記)를 보면, 이 시기에 농촌에서는 개구리의 알이 몸을 보한다고 하여, 논이나 물이 괸 곳을 찾아가 건져 먹는다고 하였다. 또 흙일을 하면 일년 내내 탈이 없다고 하여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벽을 바른다고 하였다. 보리싹의 성장상태를 보고 1년의 풍흉(豊凶)을 점치기도 하였으며, 이 무렵 대륙에서 남하하는 한랭전선이 통과하면서 흔히 천둥이 울리기 때문에, 땅속에 있던 개구리·뱀 등이 놀라서 튀어나온다는 말도 있다. (두산백과)
경칩(驚蟄)의 의미와 관련 풍속
이미지출처 YTN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고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한난(寒暖)이 반복된다. 그리하여 기온은 날마다 상승하며 마침내 봄으로 향하게 된다. '한서(漢書)'에는 열 계(啓)자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蟄)자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한(漢) 무제(武帝)의 이름인 계(啓)를 피휘(避諱)하여 놀랠 경(驚)자를 써서 경칩(驚蟄)이라 하였다. 옛사람들은 이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고로쇠나무(단풍나무, 어름넝쿨)를 베어 그 수액(水液)을 마시는데, 위장병이나 속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전남 구례의 송광사나 선암사 일대에서 채취한 고로쇠 수액은 유명하다. 보통의 나무들은 절기상 2월의 중기인 춘분(春分)이 되어야 물이 오르지만 남부지방의 나무는 다소 일찍 물이 오르므로, 첫 수액을 통해 한 해의 새 기운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고로쇠 수액은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 일기(日氣)가 불순하면 좋은 수액이 나오지 않고, 날이 맑아야만 수액이 약효가 있다. 경칩이 지나서는 수액이 잘 나오지 않으며, 나오더라도 그 수액은 약효가 적다. 이처럼 경칩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움츠려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 절기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
[24절기]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
중국력법은 달의 위상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역일(曆日)을 정해 나간 것에, 태양의 위치에 따른 계절변화를 참작하여 윤달을 둔 태음태양력이었다. 그러나 이 역법으로는 계절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특별한 약속 하에 입춘·우수·경칩·춘분 등 24기의 입기일(入氣日)을 정한다.
그 정하는 방법에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평기법(平氣法)이고, 다른 하나는 정기법(定氣法)이다. 예전에는 장구한 세월에 걸쳐서 평기법을 써왔다. 이것은 1년의 시간적 길이를 24등분하여 황도상의 해당점에 각 기를 매기는 방법인데,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순차로 중기·절기·중기·절기 등으로 매겨나가는 방법이다.
따라서 동지의 입기시각을 알면 이것에 15.218425일씩 더해가기만 하면 24기와 입기 시각이 구해진다. 정기법은 훨씬 뒤늦게 실시되었다. 6세기반경에 북제(北齊)의 장자신(張子信)에 의해 태양운행의 지속(遲速)이 발견된 후, 수(隋)의 유탁(劉倬)이 정기법을 쓸 것을 제창하나 그후 1,000년 이상이나 방치되었고, 청나라 때 서양천문학에 의한 시헌력(時憲曆)에서 처음으로 채택되었다.
정기법에서는 황도상에서 동지를 기점으로 동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매기고 태양이 이 점을 순차로 한 점씩 지남에 따라서 절기·중기·절기·중기 등으로 매겨나간다. 이 경우 각 구역을 지나는 태양의 시간간격은 다르게 된다.
(자료출처 : 두산백과)
입춘 (立春) 2016년 2월 4일 시기 : 양력 2월 4일 또는 5일 소개 : 봄의 시작 | 입춘풍속 |
우수 (雨水) 2016년 2월 19일 시기 : 양력 2월 18일 또는 19일 소개 : 비가 내리고 싹이 틈 | 우수풍속 | ||
경칩 (驚蟄) 2015년 3월 5일 시기 : 양력 3월 5일 또는 6일 소개 : 개구리가 잠에서 깸 | 경칩풍속 |
춘분 (春分) 2016년 3월 20일 시기 : 양력 3월 20일 또는 21일 소개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춘분풍속 | ||
청명 (淸明) 2016년 4월 4일 시기 : 양력 4월 4일 또는 5일 소개 : 봄 농사 준비 | 청명풍속 |
곡우 (穀雨) 2016년 4월 20일 시기 : 양력 4월 20일 또는 21일 소개 : 농사비가 내림 | 곡우풍속 |
입하 (立夏) 2016년 5월 5일 시기: 양력 5월 5일 또는 6일 소개: 여름의 시작 | 입하풍속 |
소만 (小滿) 2016년 5월 20일 시기: 양력 5월 21일 또는 22일 소개: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 소만풍속 | ||
망종 (芒種) 2016년 6월 5일 시기: 양력 6월 5일 또는 6일 소개: 씨뿌리기 | 망종풍속 |
하지 (夏至) 2016년 6월 21일 시기: 양력 6월 21일 또는 22일 소개: 낮이 가장 긴 시기 | 하지풍속 | ||
소서 (小暑) 2016년 7월 7일 시기: 양력 7월 7일 또는 8일 소개: 여름 더위의 시작 | 소서풍속 |
대서 (大暑) 2016년 7월 22일 시기: 양력 7월 22일 또는 23일 소개: 더위가 가장 심한 때 | 대서풍속 |
입추 (立秋) 2016년 8월 7일 시기: 양력 8월 7일 또는 8일 소개: 가을의 시작 | 입추풍속 |
처서 (處暑) 2016년 8월 23일 시기: 양력 8월 23일 또는 24일 소개: 일교차 커짐 | 처서풍속 | ||
백로 (白露) 2016년 9월 7일 시기: 양력 9월 7일 또는 8일 소개: 이슬이 내리기 시작 | 백로풍속 |
추분 (秋分) 2016년 9월 22일 시기: 양력 9월 23일 또는 24일 소개: 밤이 길어지는 시기 | 추분풍속 | ||
한로 (寒露) 2016년 10월 8일 시기: 양력 10월 8일 또는 9일 소개: 찬 이슬이 내림 | 한로풍속 |
상강 (霜降) 2016년 10월 23일 시기 양력 10월 23일 또는 24일 소개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상강풍속 |
입동 (立冬) 2016년 11월 7일 시기: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 소개: 겨울의 시작 | 입동풍속 |
소설 (小雪) 2016년 11월 22일 시기: 양력 11월 22일 또는 23일 소개: 얼음이 얼기 시작 | 소설풍속 | ||
대설 (大雪) 2016년 12월 7일 시기: 양력 12월 7일 또는 8일 소개: 겨울 큰 눈이 옴 | 대설풍속 |
동지 (冬至) 2016년 12월 21일 시기: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 소개: 밤이 연중 가장 긴 때 | 동지풍속 | ||
소한 (小寒) 2017년 1월 5일 시기: 양력 1월 5일 또는 6일 소개: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소한풍속 |
대한 (大寒) 2017년 1월 20일 시기: 양력 1월 20일 또는 21일 소개: 겨울 큰 추위 | 대한풍속 |
'HAB - 풍요 (Abundant) > 문화의 풍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명 (淸明)입니다. 24절기에 대해 어떻게 알고 계시나요? (0) | 2016.04.05 |
---|---|
춘분 (春分) (0) | 2016.03.20 |
3월 탄생석 ‘아쿠아마린 이야기’ (0) | 2016.03.04 |
2월 탄생석 ‘자수정 이야기’ (0) | 2016.02.28 |
정월대보름 (0) | 2016.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