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B - 풍요 (Abundant)/문화의 풍요

정월대보름

대보름 유래, 음식, 풍습, 속담

 

 

정월대보름의 유래

 

정월대보름날은 우리 민족의 밝음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전한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 하는데 도교적인 명칭으로 천관(天官)이 복을 내리는 날이라 한다. 여기에 중원인 7월 15일, 하원인 10월 15일을 합하여 삼원이라 부른다. 이 밖에도 원소절(元宵節), 원석(元夕)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소정월(小正月)이라 하여 공휴일로 정해 명절로 삼고 있다

 

대보름날의 각종 풍속은 전체 세시풍속 중 1/4이 넘을 정도로 풍부한데 설 풍속을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이것은 정초와 대보름 명절이 우리 민속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이들은 상호 유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월중에 많은 세시행사가 모여 있다. 정월에 드는 설과 대보름은 상호보완적으로 설날이 개인적 ·폐쇄적 ·수직적이고, 피붙이의 명절임에 반해 대보름은 개방적 ·집단적 ·수평적 ·적극적인 마을공동체 명절로 두 관념이 교차하며 달의 생성과 소멸주기에 따라 긴장과 이완, 어둠과 밝음, 나에서 우리로 교체 ·확장되는 일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국의 명절 중 정월 대보름의 예축의례와 상대적인 명절로 수확의례인 8월 한가위의 보름 역시 만월을 통한 풍요관념을 보여준다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 ·여성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하다. 땅과 달을 여성으로 여긴 것은 오랫동안 전해온 지모신(地母神)의 생산력 관념에서 나온 것이다. 《태종실록》에 전하는 경기도 연안부의 용갈이, 용경(龍耕)풍속이나 《동국세시기》에 전하는 홍주의 용경과 용알뜨기 민속, 영동지방의 용물달기 등은 용신(龍神)신앙이 농경의례와 밀접함을 보여준다. 줄다리기 역시 용사(龍蛇) 신앙의 한 표현이다. 따라서 대보름 달빛은 어둠과 질병, 재액을 밀어내는 밝음 상징이므로 동제(洞祭)를 지내고 개인과 집단적 행사를 한다. 전하는 말에는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든가 "중국 사람은 좀생이 별을 보고 농사짓고, 우리나라 사람은 달을 보고 농사짓는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문화유형이 다름을 말해준다. 개인적인 기복 행사로는 부럼깨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시절음식인 복쌈이나 묵은 나물먹기와 달떡을 먹는 것이 있으며, 줄다리기 ·다리밟기 ·고싸움 ·돌싸움 ·쥐불놀이 ·탈놀이 ·별신굿 등은 집단의 이익을 위한 대보름 행사다. <자료출처 : 두산백과>

 

대보름의 다른 이름

까마귀에게 제사지내는 날에 대하여 성현(成俔)의 칠어고시인 '향반(香飯)', 『성소부부고(惺所覆藁)』 시부에 실린 '궁사(宮詞)', 『경도잡지(京都雜志)』·『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정월 보름이라 기술하였고, 『삼국유사(三國遺事)』·『동경잡기(東京雜記)』·『해동죽지(海東竹枝)』에서는 정월 열엿새라 기술하였다.

까마귀에게 제사지내는 풍속의 유래는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사금갑조(射琴匣條)에 제21대 소지왕(炤智王) 10년(488) 왕이 천천정(天泉亭)에 거동하였는데, 그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다가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라."고 했다. 왕이 명하여 기사(騎士)가 까마귀를 뒤쫓아서 남쪽으로 피촌(避村)에 이르니 돼지 두 마리가 싸우고 있었다. 그것을 구경하다가 까마귀를 놓치고 길가에서 방황하고 있을 때 한 노인이 못에서 나와 글을 바쳤다. 겉봉에 "이를 떼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떼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고 적혀 있었다. 기사가 돌아와 글을 왕에게 올리니 왕이 "열어 보지 않고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고 하였다. 이에 일관(日官)이 "두 사람은 서민이요, 한 사람은 왕입니다." 하고 아뢰므로 그 편지를 열어 보니 "금갑(琴匣)을 쏘라."고 적혀 있었다. 왕이 이상히 여겨 곧 궁중에 들어가 금갑을 쏘니 그 안에 내전(內殿)의 분수승(焚修僧)이 궁주(宮主)와 통정하며 간계를 꾸미고 있었다. 이에 두 사람을 복주(伏誅)하였다. 이로부터 나라의 풍속에 해마다 정월 상해일(上亥日)·상자일(上子日)·상오일(上午日)에는 온갖 일을 삼가고 감히 동작하지 아니하였으며 16일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으로 까마귀에게 제사지냈다고 하였다. 이 설화에 의하면 정월 16일에 찰밥을 만들어 까마귀에게 먹임으로써 역경에 처한 소지왕의 신세를 갚은 셈이 되고, 오기일 풍속이 생겨난 것이다.<자료출처 : 한국민속대백과>

 

대보름 음식

 

귀밝이술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 한글로는 귀밝이술이라 하며, 한자어로는 이명주(耳明酒)·명이주(明耳酒)·유롱주(聾酒)·치롱주(治聾酒)·이총주(耳聰酒) 등으로 부른다.

약밥(藥飯)

찹쌀을 쪄서 대추, 밤, 잣, 참기름, 꿀, 간장 등의 여러 재료를 섞어 쪄서 익힌 음식. 약식(藥食) 또는 약반(藥飯)·꿀밥 또는 밀반(蜜飯)이라고도 한다. 『목은집(牧隱集)』에는 점반(粘飯),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고려반(高麗飯),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는 잡과반(雜果飯), 『소당풍속시(嘯堂風俗詩)』의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와 『아언각비(雅言覺非)』 등에는 밀반이라고 나온다.

오곡밥(五穀飯)

다섯 가지 곡식, 즉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 정월 대보름의 오곡밥은 풍농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어 농사밥이라고도 하며, 대보름 즈음에 먹는다 하여 보름밥이라고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오곡잡반(五穀雜飯)이라 나온다. 또한 정월 대보름에 만들어 먹는 상원절식으로 약밥을 들고 있는데, 약밥에 들어가는 잣, 대추, 밤 등은 당시 서민들이 구하기 어려운 재료였기 때문에 대신 오곡밥을 지어 먹게 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생떡국

{생떡국 만드는 방법} 떡반죽을 떡가래같이 길게 만들어 돈짝 만큼 썰거나 새알 등의 모양으로 빚어 만든 생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국을 생떡국 또는 날떡국이라고 하며, 한자로는 '생병탕(生餠湯)'이라 한다.

섬만두

정월 대보름날 밤에 벼농사가 잘 되어 쌀섬이 많이 들어오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크게 만들어 먹는 만두. '섬'은 곡식 따위를 담기 위하여 짚으로 엮어 만든 가마니를 말하며, 부피의 단위로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쓰는 용어이다.

 

 

대보름 풍속 (링크 연결)

 

놋다리밟기

경북 안동 ·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

기와밟기라고도 한다. 대보름날 보름달 아래서 단장한 젊은 여자들이 공주를 뽑아 자신들의 허리를 굽혀 그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로, 놀이 지역은 금남(禁男)의 지역으로 선포된다.

방패연

한국의 대표적인 연.

참연이라고도 한다. 직사각형(장방형)의 연면(鳶面)에 붙이는 색지(色紙)의 색과 모양에 따라, 또는 그림에 따라 각각 명칭이 다르다. 가운데 방구멍이 뚫린 방패연은 특히, 견고함과 유연성 면에서 세계에서 유례(類例)를 찾기 힘든 뛰어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얼레로 줄을 풀고 감아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조종하는 사람이 이동하면서 좌우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등 공중에서 종횡무진 활약할 수 있어 연싸움에 많이 사용된다.

복쌈

음력 정월 보름(상원날)에 김이나 마른 취에 밥을 싸서 먹는 풍속.

취 ·호박고지 ·고비 ·고사리 ·도라지 ·가지 ·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두었다가 볶아서 먹고, 밥을 싸서 먹거나, 김을 구워서 쌌는데, 개성 등지에서는 들깻잎으로 싸서 먹기도 한다.

얼렁질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이들이 연을 날리다 남은 실을 가지고 하는 놀이.

실 끝에 돌을 매어 서로 실을 교차시켜 끌어당기는 놀이인데 실의 강하고 약함을 겨룬다.

줄다리기

정월 대보름에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던 대동놀이. 줄다리기는 지역에 따라 줄당기기, 줄땡기기, 줄싸움, 줄쌈, 게줄쌈, 귀줄싸움, 동줄다리기, 조리희(照里戱), 도삭(索), 갈전(葛戰), 조리지희(照理之戱)와 같은 여러 이름이 존재한다.

차전놀이(車戰-)

강원도 춘천 지방과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음력 정월보름에 강원도 춘천, 경기도 가평지방과 경상북도 안동지방에서 놀이되던 민속경기의 하나이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춘천의 풍속에 외바퀴수레를 마을별로 만들어 떼를 지어 앞으로 몰고 와서 서로 싸워 그해의 연운(年運)을 점치는데, 쫓겨 패하는 편이 흉하다고 한다.

쥐불놀이

들판에 쥐불을 놓으며 노는 풍속. 횃불을 들고 들판에 나가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으며, '서화희(鼠火戱)' 또는 '훈서화(燻鼠火)'라고도 한다.

석전(石戰)

개천이나 넓은 가로(街路) 등의 지형을 경계 삼아 수백 보 거리를 두고 일대의 주민들이 마을 단위로 편을 갈라 서로 돌을 던져 누가 먼저 쫓겨 달아나느냐의 여부에 따라 승부(勝負)를 가리는 전통사회의 집단놀이.

부럼깨기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한 해 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齒]를 튼튼하게 하려는 뜻으로 날밤·호두·은행·잣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 다른 말로 '부스럼(또는 부럼)깨물기'라고도 하고 '부럼먹는다'고도 한다. 또한 그러한 견과류를 일반적으로 '부럼' 또는 '부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달맞이

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며 기복(祈福)하는 풍속. 동쪽에서 뜨는 달을 맞이한다 하여 영월(迎月)이라 하기도 하고, 달을 바라본다 하여 망월(望月) 혹은 달보기, 망월에 절하기, 망우리라고도 부른다. 횃불을 들고 뒷동산에 올라가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가 달이 뜨면 횃불을 땅에 꽂고 소원을 비는 것이다.

달집태우기

정월 대보름 무렵에 생솔가지나 나뭇더미를 쌓아 '달집'을 짓고 달이 떠오르면 불을 놓아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풍속. 지역에 따라서는 달집불·달불놀이·달끄실르기·망우리불(망울이불)·달망우리·망월·동화(洞火)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지신밟기(地神-)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집터를 지켜준다는 지신(地神)에게 고사(告祀)를 올리고 풍물을 울리며 축복을 비는 세시풍속.

지신밟기는 어떤 측면을 강조하는가에 따라서 걸립, 걸궁, 고사반, 고사풀이, 마당밟기, 주살맥이, 매구, 매귀 등 다양한 명칭을 지닌다.

기세배(旗歲拜)

정월 대보름 무렵에 농신기(農神旗)를 갖고 기세배를 하던 풍농기원 민속놀이. 농기세배, 농기뺏기, 기싸움, 기절, 기접놀이 등이라고도 하는데, 기(旗)로써 예절을 갖추기도 하지만 격렬한 몸싸움이 벌어지는 일도 종종 있다.

기세배는 이웃 마을의 두레꾼들이 한곳에 모이거나 마을을 찾아다니면서 일년 농사를 앞두고 풍농을 기원하고 단합과 결속을 다지는 풍속이다.

 

 

대보름 속담

 

개 보름 쇠듯

대보름날 개에게 음식을 주면 여름에 파리가 많이 꼬인다고 하여 개를 굶긴다는 뜻으로, 남들은 다 잘 먹고 지내는 명절 같은 날에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름에 풑밥할 놈이 나왔다

일반 농가에서 추수할 때 팥의 수확이 여의치 못할 때 불만스럽다는 뜻.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

객지에 나간 사람은 설에 부득이 집에 돌아오지 못하더라도 보름에는 꼭 돌아와야 한다는 뜻.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

설은 눈이 많이 와야 좋고 대보름은 밝고 환한 달이 떠야 풍년이 들어서 좋다는 뜻.

정월 대보름날 귀머거리장군 연 떠나가듯

귀머거리장군(將軍)은 연의 한 종류로서 윗머리 양쪽 귀퉁이에 검은 부등변삼각형을 그린 연이다. 부등변삼각형은 밑변이 5센티미터, 높이가 10센티미터 정도이다. 아이들이 겨우 내내 연을 띄우다가도 농사가 시작되는 정월 대보름 이후에 연을 날리면 "개백정"이라는 욕을 먹기 때문에 연을 더 이상 날릴 수가 없어서 대보름 전날인 열 나흗날에 그 동안 가지고 놀던 연을 날려 보내는데, 이것을 '송액(送厄)'이라 한다(전북 남원지방은 속공이라고 한다). 바로 그 해에 들 액운을 연에 달아서 멀리 날려 보낸다는 액땜이라고 할 수 있다.

까마귀가 떼지어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비가 온다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