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는 단순한 '성 노예'가 아니었다.
'위안부'에게 가해진 반인륜적인 행위들은 일제와 일본군의 실체다.
그들은 조선의 처녀들을 강제로 끌어다가 성노예 뿐만이 아닌 스트레스 해소 대상으로, 심심풀이를 위한 장난감으로 그녀들의 육신과 영혼을 파괴하고 유린하는 것을 넘어 심지어는 그녀들을 식량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그들은 인간이 아니었다.
백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 '극우'로 부활하는 일본 제국주의는 일본인의 내면에 잠재한 '비인간'의 발현일 수도 있다. 그들은 반성하지 않는다.
영상 : 슬픈 귀향 1부 '북녘 할머니의 증언' <뉴스타파>
슬픈 귀향
슬픈 귀향 1부 '북녘 할머니의 증언'
사람이 갖고 있는 잔악함의 끝은 어디일까
일본 저널리스트 이토 다카시가 99년에 담은 북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듣고 제작진에게는 이같은 물음이 생겼습니다.
이토 씨는 일제가 저지른 전쟁범죄에 피해를 입은 아시아 각국의 사람들을 20년 넘게 취재해왔습니다. 한국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북한 지역도 취재했습니다. 특히 99년에 이토 씨가 영상에 담은 북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들 정도로 일본군의 잔악함이 여과 없이 담겨있었습니다.
▲ 이토 씨는 1992년부터 2015년까지 북한 '위안부' 할머니 14명의 증언을 영상에 기록했다. |
북한의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군 '위안부'는 2000년 10월 기준, 218명으로 추산됩니다. 그러나 북한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는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뉴스타파 <목격자들>은 일본군 '위안소'에서 벌어진 참상을 보다 더 자세히 알리기 위해 이토 씨가 담은 북한 '위안부' 할머니의 증언 영상을 2주에 걸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북한 지역에도 일본군 '위안부'가 존재하는 사실이 알려진 것은 1992년 故 리경생 할머니(1917~2004)의 공개 증언을 통해서였습니다. 리경생 할머니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일제 순사에게 끌려가 일본군의 '위안부'가 됐습니다.
"도교상이라는 놈이 "여기서 대일본제국의 천황폐하에게 몸 바쳐 말 잘 들으면 너를 잘 돌봐주겠다"고 말하고 그 장교 놈이 한 며칠 와서 그렇게 성노예 생활을 시작하더구먼. 이제 12살 난 게 어머니 품에서 어린양 노릇하던 아이가 성노예 생활이 뭔지 아나? 그놈이 들이대니까 아이 아래가 다 파괴돼요. 온통 구들바닥에 피가 쏟아지고 이래도 군인들이 쭉 들어와서 성노예 생활을 하다가…"
– 리경생 할머니
▲ 故 리경생 할머니(1917~2004). 12세에 경상남도 창원에 있는 군수공장에 끌려갔다. |
일본군이 '위안부'에게 했던 고문과 만행은 차마 입에 담기 힘들 정도로 반인륜적이었습니다. 리경생 할머니는 자신이 열여섯 살에 임신이 되자 일본군은 그의 배를 가르고 태아를 꺼낸 뒤 자궁을 들어냈다는 만행을 자행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일본군이 배에 아이 있다고. 임신했다고 '저년을 써먹어야겠는데 나이도 어리고 인물도 곱고 써먹어야겠으니 저년 자궁을 들어내 파라'"
– 리경생 할머니
리경생 할머니의 최초 증언 이후 북한 지역 곳곳에서 자신도 일본군 위안부였다는 증언이 이어졌습니다.
2000년 북한 단체인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대의 어린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사람은 70%나 됐습니다. 강제 연행된 경우가 96명으로 44%, 일자리를 미끼로 유인당한 경우가 74명으로 34%, 나머지는 빚에 팔리거나 근로정신대에 모집됐다가 위안부가 됐습니다. 이 가운데 43명이 공개적으로 증언했습니다.
"철부지 13살이 뭘 압니까. 하나도 모릅니다. 그 성기가 들어갑니까? 안 들어갑니다. 그러니까 주머니에 있던 칼을 꺼내더니 잡아 둘러 매쳐놓고 그 칼로 쭉 잡아 찢습니다. 그렇게 하곤 자기 할 노릇을 했는지 까무러쳐서 나는 모릅니다. 벗지 않곤 말이 되지 않아."
– 김영숙 할머니(1927~2010) 13세에 '위안소' 끌려감
▲ 故 김영숙 할머니(1927~2010). 13세에 중국 심양에 있는 '위안소'에 끌려갔다. |
일본군들에게 '위안부' 할머니들을 고문하는 것은 일종의 '놀이'였다는 증언도 있었습니다. 성고문을 당한 지 수십 년이 흘렀지만, 정옥순 할머니(1920~1998)의 가슴과 아랫배에는 당시에 겪었던 고문의 상흔이 고스란히 남아있었습니다.
▲ 故 정옥순 할머니(1920~1998). 14세에 양강도 혜산시 일본군 병영에 끌려갔다. |
"이 고문을 받을 때는 완전히 정신을 잃었어요. 문신을 독약으로 하는데 어떻게 정신을 안 잃어. 살이 다 헐었어요. 바늘 쏙쏙 들어간 자리죠. 이거 봐. 그 자리에서 열두 명이 죽었는데…"
– 정옥순 할머니
'위안부'가 되기를 거부하기라도 한다면 그 순간 돌아오는 것은 일본군의 가차 없는 학살이었습니다.
"한 처녀가 "차라리 내가 죽는 게 낫지. 너희 개 같은 놈들한테 이렇게 맨날 이 단련을 받겠나?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하니까 일본군이 "어 좋다." 그 다음에는 가마니를 하나 끌어다 놓고 졸병을 시켜서 "모가지 잘라라." 모가지 잘라 가마니에 넣고 "팔 잘라라." 팔 잘라서 가마니에 넣고. "다리 잘라라." 다리 다 잘라 담고 몸뚱이도 그저 몇 토막을 쳐서 가마니에 다 주워 담는 것을 보고 그걸 보고는 처녀들이 다 악악 소리치고 그 자리에서 다 죽어 널브러졌습니다."
-리경생 할머니
이런 광기 어린 일본군의 학살에 죽어 나간 '위안부'는 수없이 많았습니다.
"한 400명 데려다 놓고 하룻밤에 40명씩 타면서 아이들이 아래 하초가 깨져서 피를 쏟다가 죽은 아이들이 수백 명 됐다. 내가 말을 안 들으니까 팬티만 입혀서 이 하초를 쇠막대기로 다 지졌다. 왜 말 안듣냐고 지지고… 말 듣겠느냔 하고 또 지지고. 그렇게 아래 하초가 다 데여서 번직번직하니 거기 껍데기가 쭉 벗겨졌는데 군인들이 40명씩 또 달라붙더라."
-정옥순 할머니
일본군이 '위안부'를 개만도 못한 취급을 해가며 저지른 학살은 '엽기' 그 자체였습니다.
"계집애들이 말을 안 듣는다고 못판에 못을 300개를 심었어요. 그게 못판에 팬티가 다 찢기고 하초에 닿으니까 살에 구멍이 뚫려서 국숫발 같이 피가 팍팍 뿜어요. 그렇게 15명을 죽여 놓고서는 "너희 계집 애들도 말 안 들으면 이렇게 죽인다. 말 안 듣는 계집애들 죽이는 건 개 죽이는 것보다 아깝지 않다" 그렇게 말했다. 내가 피 눈물이 나와."
-정옥순 할머니
리상옥 할머니(1926~2005)는 '위안소'에서 목숨을 걸고 탈출했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그곳에서 겪은 성고문과 함께 끌려간 동네 친구가 일본군에 의해 학살당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나랑 같이 온 탄실이, 영순이. 하루는 신음소리가 나길래 보니까 사람이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어요. 내 방이 아니고 남의 방이니까. 그런데 그들이 죽는 것을 보고 '아, 이제는 이렇게 죽는 거다'하고 몇 달 지나갔어요.
리상옥 할머니
▲ 故 리상옥 할머니(1926~2005). 17세에 평안남도 순천시에 있는 일본군 부대에 끌려갔다. |
리상옥 할머니는 그 당시 후유증으로 임신을 할 수 없게 됐습니다. 평생을 홀로 살아왔습니다. 그리고 60년동안 홀로 떠안고 온 상처를 치유받지 못한 채 2005년 숨졌습니다.
어느 누가 자식도 하나 없고 그런 삶을 살 수가 있나요? 당신네도 아들딸 있겠지요. 나는 아무도 없이 나 혼자 살았어요. 나는 이제 다른 것 바랄 거 없어요. 당신네가 준 모욕 보상하라요. 왜 못하나요. 60년이 됐어요. 60년. 생각해보세요. 나도 남들이 잘사는 거 보면 부럽고 얼마나 가슴이 터져오는지 알아요?
리상옥 할머니
한국의 '위안부' 할머니들처럼 북한의 '위안부' 할머니들도 한 분, 두 분 세상을 떠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할머니들의 증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단지 남한만이 아닌 한반도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2016년 3월 4일 19시 17분 금요일
'행동하는 지성 - 정의/인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 평등 박애’ UN 사무총장의 ‘위안부합의 지지’ 논란 (0) | 2016.03.13 |
---|---|
‘위안부’, 슬픈 귀향 (0) | 2016.03.12 |
사이버테러방지법 제정에 반대한다 (0) | 2016.03.10 |
'테러방지법'에 '사이버테러방지법'까지?, 사이버 망명 쇄도 (0) | 2016.03.04 |
지금은 ‘뉴스’지만, 곧 ‘일상’이 될 일들 중 하나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