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역과 용서

반역은 유전(遺傳)되는가

 

 

 

유신정권의 기세가 극에 달했던 시절, 홍익대학교 총장이던 이항녕 박사의 법철학을 처음 읽었다. 강렬한 공감이 폭풍 처럼 밀려왔고, 이후로 사회와 도덕과 법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탐구를 계속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그리고 이렇게 만난 선생에 대한 공감과 동경은 극심한 회의와 갈등에 빠지게 됐다. 그에게는 그 어떤 관념도, 정의와 도덕과 법에 대한 통찰도 온전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 전력이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일제 말기에 수년간 군수를 지내며 공출과 모병에 앞장섰던 친일파였다. 회의와 갈등은 마치 3도 화상의 우그러진 흔적처럼 선생에 대한 공감 위에 굳어졌다.

 

십여년이 지난 어느 날, 가뭄 끝의 소나기 같은 소식 한토막이 전해졌다. 이항녕 선생이 친일 이력을 공개하고 참회의 눈물을 흘렸다는 내용이다. 그것도 자신이 일제의 앞잡이 군수로 재직했던 하동군의 공식 행사장이었다는 것이다.

하동에서부터 시작된 소나기가 오래 묵어 흉물스럽게 굳어진 흉터를 대부분 씻어 버린 것 같았다.

 

친일 반역에 가담했던 당사자나 그 후손 가운데 그 사실을 고백하고 역사와 민족 앞에 사죄한 사례는 꽤 있다. 그들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그들의 사죄에 용서를 주며, 그들의 남은 삶에 평온이 깃들기를 바란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운명적인 숙제가 있다.

여전히 반역의 불씨는 살아있고, 파괴된 정의가 재건되지 않았고, 신성한 권선징악의 규범은 오손된 채 아직도 신음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통적으로 친일의 대가로 취득한 권력 및 금력(경제력) 덕택에 대부분의 친일파(후손)들은 중산층 이상의 사회적 기득권층으로 풍요를 누리고 있다는 점에서 극일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의 몰락과는 극명하게 대비된다.
이 비정상적인 국가적 비극은 아마 무력과 회유에 굴복하여 반역을 용인하고 오히려 그들에게 권력과 금력의 세습까지 허용한 대가일 것이다.

 

역사적 사명이다.

우리에게는 더 이상 방임하고 방관해서는 안될 역사적 사명이 있다.

반역을 단죄하고 정의를 재건하며 권선징악을 다시 신성한 사회윤리로 회복시켜야 할 엄중한 과업이다.

 

 

"일제강점기 군수 이상은 죄다 친일파였다"

친일 전력을 반성한 이항녕과 도주한 박춘금

 

 

 

'일제 앞잡이' 눈물로 반성하다

 

1991 7 10일 경남 하동초등학교 강당. 바르게살기운동 하동군협의회의 초청을 받아 단상에 오른 이항녕 전 홍익대 총장은 침통한 어조로 말을 꺼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하고 지금부터 50년 전인 1941년 하동군수로 부임해 1년간 재직한 적이 있습니다. 사과한다고 해서 죄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저는 그 당시 공출 실적을 올리기 위해 죽창을 들고 다니면서 군민들을 괴롭혔던 사실을 사과드립니다. 저는 하동군수로 1, 창녕군수로 3년간 있었는데 그때는 징용·징병·학병을 보내기 위한 일을 했습니다. 그때 그렇게 집을 떠나야 했던 분들 가운데 목숨을 잃은 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일본의 앞잡이로서 그런 일을 저질렀던 나쁜 죄인이었습니다."

 

이 참회는 한국사회에 잔잔한 파문을 몰고 왔다. 수천 수만의 친일파 가운데 이렇게 공개적으로 반성한 이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대다수 친일파들은 전력을 숨기거나 심지어는 "내가 무슨 나쁜 일을 저질렀나?" 하며 오리발을 내미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후략)

▶CBS뉴스 기사 원문보기

 

 

▷친일 고백사죄 관련 보도

“조상 친일행위 사죄” 용기낸 후손들

"부친의 '친일 죄과' 민족 앞에 사죄" - 파인 김동환 3 김영식씨

친일파 후손의 사죄

유용 서울시의원 '친일조상 27명' 반민족행위 사죄

‘고향의 봄’ 이원수 유족 “아버지 친일행위 공식사죄”

‘친일’을 반성하고 사죄한 사람들                                               

시인 정지용/김동환, 친일 사죄

한국교회 친일행위 사죄, 일본 천주교회에서 배워야

선배 문인들의 친일행각을 사죄합니다

"친일, 나의 더러운 욕망을 저주한다"

 

박근혜 권력에 어른거리는 '친일' 그림자

친일인명사전 


"); wcs_do();